PARK SEYEON (SEY PARC)
Work
About

Contact


Critic
객관화된 삶의 흔적
황석권 《월간미술》 수석기자
< Between the layers >(2014)는 흡사 초점이 맞춰지지 않아 일견 핀홀(pin-hall) 촬영 기법으로 보여지는 작업이었다. 그러나 시선이 머무르는 다양한 층위를 엿볼 수 있게 한 이 작업은‘본다’라는 행위의 다양한 층위(layer)를 보여준다. 일상에서 인간의 행위 중 가장 오랜 시간을 할애하는 ‘본다’는, 그래서 많은 유사어를 갖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그 뜻 또한 세분화되어 있다. ‘see’, ‘look’, ‘watch’, ‘stare’, ‘see’, ‘observe’, ‘view’, ‘gaze’ 등이 바로 그것이다. 각각의 단어는 뉘앙스에서 차이를 드러내며 어떤 의도가 내재되지 않은 보는 행위부터 집요한 의도의 개입 여부와 대상의 크기와 사안, 거리, 시야 등에 따라 분류된다. 박세연은 얼핏 의도하지 않은 대상을 바라보는 것 같지만 대상의 거리와 그 사이에 있는 물질, 분위기, 시간 등이 말 그대로 ‘층위’를 이루며 존재하고 있음을 드러내려 한다. 따라서 그는 이 작업에 세심하고 쉽게 발견되지 않는 의도를 담고 있는 셈이다. 그리고 관람객이 이 작업이 창 넘어 존재하는 풍경이라는 것을 발견하려면 작가의 의도와 비례한 관찰이 필요하다.

사실 < Between the layers > 연작은 바로 직전 작업인 < 창(窓)-what you see >(2013) 연작의 연장선에 놓여있다고 본다. 이 두 연작의 출발지는 촬영 행위가 실내에서 이뤄졌다는 공통점에서다. 또한 무심한 의도(?)라는 역설적 병렬성을 이룩하고 있다는 점과 언제나일 것 같은 대상의 기록이라는 점에서도 그렇다. 이러한 작업은 < as ever > 연작이 말하듯 고정되어 있는 대상을 고정된 지점에서 포착한다는 작업방식을 엿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작가는 세상에 영원히 존재하는 것은 없다는 점을 깨닫고 만다. 그것은 흔적으로서만, 찍는 행위가 이루어지는 그 시간에 잠시 보이는 것이다. 그리고 무엇이었는지 모르는 그 ‘무엇’은 작가의 집요한 관찰과 발품팔이에 의해 발견된 것이 아니라 시선이 머무른 곳에서 의도치 않게 만나는, 최대한 관찰과 응시를 배제한 행위로서 획득된 것으로 보이게 한다.

그런데 작가는 최근작에서 전환을 이룩한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집요한 의도가 드러난 것이며 표본을 확보하기 위해 외부로 행보를 행했다는 증거다. < 어두운 방의 별: 여름(ver.01) >(2018), < 어디에 있습니까?(Wo sind wir?) >(2016) 연작은 앞서 언급한 작업과 달리 스스로를 이른바 ‘번뇌’에 빠지게 하려는 의도가 다분하다. 작가는 1년간 머물렀던 베를린에서 소비의 흔적으로 남은 영수증을 모아 일종의 패턴을 구축했다. 숫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영수증은 그 자체로 일상의 세세한 기록인 셈이고 소비 양상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상당히 개인적 행위의 기록지다. 작가는 이를 분석하기 위해 특정 로직이 적용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고안했다고 한다. 같은 숫자가 반복될수록 구멍이 커지게 되는데 아크릴로 제작된 구멍 뚫린 필름을 말아놓은 듯한 작업 < 어두운 방의 별 >은 마치 초기 컴퓨터 주변장치였던 ‘펀치카드(천공카드)’를 연상하게 한다. 이러한 영수증은 아마도 < 어디에 있습니까 > 연작을 위한 행보와도 연결되어 있을 것이다. 베를린 지하철역명이 적힌 다양한 간판을 촬영한 이 작업은 작가가 그곳에 임했음을 기록이다. 어떤 도시에 사느냐는 거주민의 생활방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동한다. 서울에서 거주하는 이는 특정한 장소를 지시하는 준거가 대개는 지하철 역명이다. 그러나 베를린을 삶의 공간으로 삼은 이는 거리명이 이를 대체한다. 작가는 이러한 차이에 착안해 서울 출신으로 타인의 삶의 공간인 베를린에 거주하는 에트랑제(etranger)로서 자신의 삶의 공간에 대한 이해의 방식을 제시한 셈이다. 이는 < 어두운 방의 별 > 연작과 마찬가지로 삶의 패턴을 드러낸다는 공통점을 보여준다.

박세연의 지금까지의 작업은 철저하게 자신의 삶을 공간을 보여준다는 맥락을 지니고 있다. 그것의 변화의 양상은 내부로의 침잠이 아니라 외부를 지향하는 바로 이어졌다. 그 변화의 계기는 무엇이었을까? 오늘도 박세연은 자신의 방에서, 지하철에서, 그리고 영수증의 숫자를 논리화해 객관화하는 데서 찾고 있다.

Objectified Traces of Life
Seok Kwon Hwang_《Monthly Art》 Senior Reporter

< Between the layers >(2014) was a work that shows through pinhole photography, with focus being out. However, this work which provides an opportunity see different layers in which the eye can rest, it reveals the multiple layers of the act of 'seeing'. 'Seeing' takes up the largest proportion of time in our everyday life, and, hence, it is given many synonyms. Its meaning is also segmented - ‘see’, ‘look’, ‘watch’, ‘stare’, ‘see’, ‘observe’, ‘view’, ‘gaze’ and so on. Each word reveals the subtle differences in its nuance depending on the underlying intent of intervening, size of the subject, distance from it, and sight range. Seyeon Park attempts to reveal the 'layers' that compose the act of seeing such as the distance in between, the material, the ambiance, and the time, be it regarding the same subject. Therefore, the work comprises of an intention that is meticulous and hard to be discovered. If the audience is to find the landscape that exits beyond the window, they must invest an effort proportionate to the artist's intention.

In fact, < Between the layers > i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 work, < Window-what you see >(2013). These two series has something in common in that they were both photographed indoors. They also share similarity in the ironic lining and recording of the subject that seem to remain forever. Such work, as shown in < as ever > series, shows the subject captured in its fixed position. However, the artist comes to realize that nothing in the world is eternal. Only the traces can be temporarily shown through the act of photography. And the 'something' that cannot be fathomed can only be figured out by restraining observation and looking rather than going through obsessive examination and legworks. In other words, it is discovered unexpectedly by where the eye happens to be looking.

But it looks like the artist had a major breakthrough. This was something revealed by tenacious intention and a proof that the artist has marched outside of the frame to secure the sample. Unlike the aforementioned serieses, < Stars in a dark room: summer(ver.01) >(2018), and < Wo sind wir? >(2016) shows ample attempts to immerse oneself in agony. The artist turned collected receipts during one year of residency in Berlin into a kind of a pattern to show traces of consumption. The receipts composed up combination of numbers is a detailed records of the everyday life in itself, revealing the consumption pattern. It is indeed a record of something extremely personal. The artist says that she devised a computer program that applied certain logic to analyze it. The size of the hole is proportionate to the frequency of repeated numbers, and < Stars in a dark room: summer(ver.01) > which features punctured sheet of rolled acrylic film is remindful of the 'punch card' which used to be an accessory device to computer. These receipts are probably linked to the < Wo sind wir?(Where are we?) > series. The work showing Berlin subway station name signs are records of the artist's whereabouts. The city in which one lives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the resident's life style. For people living in Seoul, the name of the subway station reveals a lot about the place. However, for people living in Berlin, the street name takes the place of the subway station names. The artist has taken note of this difference, and showed her way of understanding her living space as a stranger (etranger) from Seoul living in Berlin. This shows something common with the < Stars in a dark room: summer(ver.01) > series in that it reveals the pattern of life.

The context of Seyeon Park's work thoroughly shows the space of her life. The aspect of its change was not the sinking into the inside, but directly towards the outside. What could have started such change? Even today, Seyeon Park finds things in the process of objectifying and logicalization of numbers in the receipts in her room, and subway stations.
Workshop